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솔리디티
- vue.js
- 서비스체인
- 제어자
- Web
- blockchain
- 프론트엔드
- frontend
- Klaytn API Service
- Klaytn
- ethereum
- vue
- Geth
- 프레임워크
- web3
- 웹
- kas
- Solidity
- geth구현
- 블록체인 구조와 이론
- 클레이튼
- nodejs
- web3.js
- 앵커링
- SCN
- API
- 블록체인
- 이더리움
- 접근제어자
- javascript
- Today
- Total
BloCCat
블록체인 백엔드 - 블록체인 질문 본문
동기
- 왜 블록체인이 하고싶은지? 동기가 있는지?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트랜잭션과 블록체인상에서의 트랜잭션의 차이점은 뭐라 생각하는지?
-> 기존 RDB에서의 트랜잭션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저장된 데이터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수행작업의 단위를 뜻하는 반면,
블록체인상에서의 트랜잭션이란 블록에 저장되는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하며 이는 거래내역, 영수증을 상징하는 의미가 크다 생각된다.
추가적으로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는 트랜잭션 해시값, 트랜잭션을 담고있는 블록의 넘버와 블록해시값, 송금값(amount), 트랜잭션이 발생한 Time Stamp, nonce 그리고 사용된 gas의 price, used, limit 등의 정보가 담긴다.
퍼블릭 네트워크와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차이점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퍼블릭과 프라이빗으로 나누는 기준은 참여제한 조건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퍼블릭 블록체인은 제한없이 누구나 참여가능한 블록체인으로 대중들이 익히 알고있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코인과 토큰이 활용되는 네트워크이고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허가받은 참여자만이 참여할 수 있는 폐쇄형 네트워크로 탈중앙화보단 기밀성과 속도 위주로 기업 자체 플랫폼에 주로 쓰이며 대표적으로 하이퍼레저가 있다.
pow 와 pos 간단한 설명
-> pow는 작업증명, pos는 지분증명으로 작업증명은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nonce값을 구하기위해 사용한 컴퓨팅 파워와 전기비용에 대한 보상으로 코인을 주는것을 의미하며, 지분증명은 작업증명의 문제점인 과도한 에너지 소비와 채굴의 독점화를 해결하기 위한 합의 알고리즘으로 참여자의 소유 지분이 블록생성의 권한에 반영되는 알고리즘을 뜻한다.
이더리움과 클레이튼의 차이
이더리움이 클레이튼이나 다른 블록체인보다 트랜잭션 속도도 느리고 가스비도 비싼데 왜 이더리움을 제일 많이 쓰는지?
-> 합의 노드 자격 차이 (참여도의 차이)
블록체인이 사용되면 좋을 사업은 어떤게 있을지?
geth 구축해본적이 있는지
트랜잭션 생성과정 -> 블록체인 형성의 5단계(https://bloccat.tistory.com/41)
과거 경험, 프로젝트 내용, git code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