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프레임워크
- 앵커링
- 프론트엔드
- ethereum
- Geth
- kas
- Klaytn
- Solidity
- Web
- 웹
- 블록체인 구조와 이론
- web3.js
- geth구현
- vue
- 제어자
- web3
- SCN
- 이더리움
- 접근제어자
- 서비스체인
- 클레이튼
- frontend
- 블록체인
- nodejs
- 솔리디티
- Klaytn API Service
- API
- javascript
- vue.js
- blockchain
- Today
- Total
목록트랜잭션 (2)
BloCCa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nUZ4e/btrnP7woPco/RyyFQQQGwodOyLoqx6Imbk/img.png)
node js v17.2.0 사용 프로젝트 구조 - main.js : 'libs' 폴더의 caver 함수를 사용하는 main 함수를 담은 파일 - libs : caver-js 를 이용하여 만든 함수(라이브러리)를 모아놓은 폴더 - provider.js : Service Chain 과 연결하는 provider 파일 코드 1. provider.js require('dotenv').config(); // 전역 변수(.env파일에 선언한 변수)를 사용하기 위함 const Caver = require('caver-js'); //caver-js 객체 선언 const caver = new Caver(process.env.SCN_URL); // Service Chain Provider - server ip:scn p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kGXy/btrnrjEDhM9/s9oZLIEOtoZg6PosI3tN60/img.png)
1. 개인 keystore 파일 생성 - keystore : account private key 파일 저장 kscn account new --datadir -> DATA-DIR / keystore에 파일 생성 2. 생성된 account에 klay를 할당하고 node 초기화 (genesis.json 수정후 재가동) vi ~/klaytn/homi-output/scripts/genesis.json balance 값은 Peb단위의 수량을 hex값으로 입력한다. 위 금액은 1000Klay 다. vi init.sh kscnd stop kill -9 $(ps -ef | grep "kscn" | grep -v 'grep' | grep -v 'tail' | grep -v 'vi' | awk '{print $2}') 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