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웹
- vue
- SCN
- blockchain
- 서비스체인
- 블록체인 구조와 이론
- javascript
- Solidity
- 클레이튼
- Klaytn API Service
- 프론트엔드
- Geth
- API
- Web
- 앵커링
- web3
- web3.js
- nodejs
- geth구현
- 프레임워크
- 솔리디티
- kas
- 이더리움
- ethereum
- vue.js
- Klaytn
- 블록체인
- 접근제어자
- 제어자
- frontend
- Today
- Total
목록Study (42)
BloCCat

간단이론 블록체인 개발을 공부하기 앞서 반드시 알아야 할 것 중 하나인 해시함수. 해시함수의 간단한 정의는 "어떤 길이의 데이터를 입력해도 정해진 길이의 결과를 내는 함수"이다. 이 그림은 해시함수를 '깔때기'에 비유한 그림인데 아주 적절한 비유이다. 그 이유를 수학 정 정의와 함께 설명하려 한다. 1. 적은 비용 - 어떤 입력 x에 대하여 hash(x)는 계산하기 쉬어야 한다. 말 그대로 우리는 해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시값을 도출하려 할 때 그 과정이 어려우면 안 된다는 말이다. 깨끗한 물을 얻기 위해 깔때기에 불순물이 섞은 물을 집어넣는 것이 어려운 일인가? 단지 부으면 끝나는 일인 것처럼 그 계산도 오래 걸릴지라도 어렵지 않아야 한다는 말이다. (근데 어렵다) 2. 단방향성 - hash(x)=y..

정의 블록체인(Block Chain)이란 쉽게 말해 블록(관리하는 데이터)을 P2P 방식을 기반으로 체인처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데이터 저장 환경을 만드는데 이러한 환경을 블록체인이라 명명한 것. 이런 형태를 우리는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이라고도 하는데 이 환경에서 저장된 데이터는 그 누구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으며 누구나 데이터의 변경을 확인하고 열람할 수 있다. 그래서 블록체인을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이라 하는 것이고,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기술이라 하는 것이다. *P2P(Peer To Peer) : 동등 계층 간 통신망이라 하며 중앙 서버 없이 컴퓨터와 컴퓨터 간을 연결해줌으로써 파일 전송 같은 시스템에 좋음 *분산화 컴퓨팅 : 인터넷에 연결된 여러 컴퓨터들의 연산 능력..